습관제작소
AWS S3 - 정적 호스팅 본문
\ Static VS Dynamic Contents
> 정적 컨텐츠 (Static Contents)
- 서버에 저장된 파일이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전달되는 컨텐츠
- 매번 서버에 요청할 필요 없이 캐싱 가능
- HTML/Javascript 등으로 구성
- 예 : 이미지, 글, 뉴스 등
> 동적 컨텐츠 (Dunamic Contents)
- 시간, 사용자, 입력 등에 따라 내용이 변경되는 컨텐츠
- 매번 서버에 요청하여 내용을 구성하고 전달받아야 함
- PHP, JSP, ASP.net 등으로 서버 처리
- 예 : 로그인이 필요한 내용, 게시판, 댓글 등
Amazon S3 Static Hosting
- S3를 사용해서 정적(Static) 웹 컨텐츠를 호스팅하는 기능
- 별도의 서버 없이 웹사이트 호스팅 가능
- 고가용성/장애 내구성을 확보
- 사용 사례 : 대규모 접속이 예상되는 사전 예약 페이지, 홍보 페이지. 회사 웹사이트 등
>Amazon S3 Static Hosting과 권한
- Route S5에서 보유한 도메인으로 연결 가능
- 단 버킷 명 = 호스팅 주소여야 가능
- 예 : test.example.com 으로 호스팅하고 싶다면, 버킷명도 "test.example.com" 필요
- 실전에서는 CloudFront와 연동하여 주로 사용
>Amazon CloudFront 와 연동
- 일반적으로 HTTPS 프로토콜 구현을 위해서는 CloudFront와 연동 필요
- ACM을 통한 SSL키 관리가 가장 편함
- 보통 Public Hosting의 활성화 대신 그대로 Private 모드로 두고 OAI/OAC 등을 활용해서 보안 강화
>아키텍쳐(CloundFront)
> 실습
- S3 버킷의 정적 호스팅 기능 활성화
- 퍼블릭에 공개할 수 있는 권한 및 설정 적용
- S3 버킷에 샘플 static 웹사이트 파일을 작성해서 업로드하기
- S3 정적 호스팅 웹 주소를 사용해 웹사이트 동작 확인하기
'AWS > AWS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보안그룹 (0) | 2023.07.04 |
---|---|
AWS Network Access Control List (NACL) (0) | 2023.07.04 |
AWS S3 - 암호화 (0) | 2023.07.04 |
AWS S3 - 버전관리 및 객체잠금 (0) | 2023.07.04 |
AWS S3 - 권한관리 (0) | 2023.07.03 |
Comments